한국패션산업협회는 2011년부터 국내 패션 브랜드의 비즈니스 판로개척을 위해 국내 패션 수주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습니다.
특히 올해는 코로나 정상화로 · 행사 규모 확대 · B2B2C 성과 확대 · 해외 바이어 초청 등 지난해 보다 업그레이드된 전시회로 진행될 예정이오니
‘2023 트렌드페어’를 귀 브랜드의 비즈니스 창출의 장으로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.

  • 2023 트렌드페어 주요 전략 - 행사 규모 확대
    - 코로나 정상화에 따른 중국, 일본 등 해외 바이어 유치
    - 브랜드와 바이어 간 사전 정보 제공을 통한 B2B 성과 확대
    - 일반 참관객 유치 확대를 통한 소비자 판매전(B2C) 성과 확대
  • 트렌드페어 비즈니스 성과 · 2021년 : 유통 입점 150건, 위탁계약 21건, 수출 21건, 협업 25건 등 250건
    · 2022년 : 유통 입점 191건, 팝업 73건, 수출 50건 등 398건 / 오더 26억

전시목적

  • 패션브랜드와
    국내외 바이어와의 연계를 통한
    비즈니스 판로개척

  • 패션기업과의
    다양한 콜라보레이션을 통한
    새로운 비즈니스 마켓 창출

  • 소비자 대상 상품
    판매전을 통한
    브랜드 홍보 및 매출 증대

전시개요

* 2020온택트 트렌드페어 성과 : 시청뷰수 : 165,648회 / 소비자판매 90백만원
* 2021 트렌드페어 성과 : 유통입점 150건, 위탁계약 21건, 수출 21건, 협업 25건 등 250건
* 2022년 : 유통입점 191건, 팝업 73건, 수출 50건 등 398건 / 오더 26억

  • 기간2023.8.23(수)~8.25(금) 10:00~18:00 (3일간 진행)
  • 장소COEX 1층 B홀
  • 주최산업통상자원부
  • 주관한국패션산업협회
  • 전시품목 여성복, 남성복, 유니섹스, 패션잡화(가방, 구두, 액세서리 등) 브랜드
  • 참가대상사업자등록증 소재지 국내 패션 브랜드
    * 신청 기준일, 국세 및 지방세 납부 완료 업체
  • 전시성격국내 패션브랜드와 유통업체, 패션업체 및 일반 소비자가 참여하는 B2B2C페어
  • 전시내용비즈니스 상담(B2B), 소비자 판매전(B2C), 패션쇼 등 부대 이벤트
    - 비즈니스 상담(B2B) : 국내외 바이어와의 비즈니스 상담 지원
    - 소비자 판매전(B2C) : 일반인 대상, 전시 기간 상품 판매전 개최

중점 추진 사항

  • 01초청대상

    • 국내 백화점 및 쇼핑몰 바이어
    • 패션 핫 스트리트 편집샵 바이어
    • 온라인 유통업체 바이어
    • 브랜드 사입 혹은 디자이너와 콜라보레이션 추진 중인 패션기업
    • 홀세일 브랜드를 사입해 콘텐츠를 강화하려는 소매업자
    • 중국 및 일본 등 해외 바이어
    • 일반 참관객 등
  • 02바이어유치

    • 중국, 일본 등 해외 바이어 유치
      • - 협회 보유 해외 바이어 DB 활용 참가 유치
      • - 해외바이어 에이전시 활용 바이어 유치
      • - 인스타그램, 위챗, 트위터 등 글로벌 SNS 활용 참가 유치
    • 국내 바이어와의 비즈니스 매칭 지원
      • - 협회 보유 국내 바이어 DB 활용 참가 유치
      • - 행사 전 : 바이어와 참여 브랜드 간 정보 공유
      • - 행사 중 : 바이어와 참여 브랜드 간 상담 지원
      • - 행사 후 : 비즈니스 성과 추적 관리 및 바이어 연계 지원
  • 03홍보강화

    • 공식 홈페이지 운영, 홍보 채널 활용, 참가 브랜드 대외 홍보
    • 협회 보유 DB 활용 일반 참관객 대상 홍보
    • 인플루언서, 파워블로거 등 SNS 및 언론 홍보
    • 참관객 대상 다양한 이벤트 진행